완도 추자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할인 조건, 차량선적요금, 예약 방법에 대해서 오늘 포스팅에서 자세히 정리하여 다음에서 알려드리니 참고하시 바랍니다.
완도 추자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할인 조건, 차량선적요금, 예약 방법
금당도 배편, 금당도 배시간, 금당도 민박 및 펜션 정보 알아볼까요?
완도에서 제주가는 배편 시간표와 요금, 차량운임 요금, 할인방법, 예약방법 알아볼까요?
완도 제주 배편 시간표와 여객요금, 차량운임, 운임 할인방법 및 예약방법 알아볼까요?
완도 제주 배편 시간표와 여객요금, 차량운임, 운임 할인방법 및 예약방법 총정리
완도제주배편 시간표, 운임, 할인조건, 예약방법 총정리(운항선박3척)
완도여객선터미널 주차요금과 완도여객선터미널 운항시간표 알아볼까요?
제주 완도 한일고속카페리, 제주 완도 여객선 시간표 알아볼까요?
청산도 가는 방법, 청산도 여행, 청산도 배시간표 알아볼까요?
오늘 정리하여 알려드린 완도 추자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할인 조건, 차량선적요금, 예약 방법 자료는 포스팅 작성일 기준에서 확인하고 정리하였음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향후 여러 사정상 해당 포스팅 내용은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완도 추자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할인 조건, 차량선적요금, 예약 방법의 가장 정확한 정보는 지자체홈페이지 또는 운수회사에 직접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임을 알려드립니다.
완도 추자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할인 조건, 차량선적요금, 예약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완도 추자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할인 조건, 차량선적요금, 예약 방법
완도 ↔ 추자도 배편 종합 가이드
—송림블루오션호 시간표‧요금‧할인‧차량선적‧예약 절차를 한 번에—
Ⅰ. 서론
완도항에서 출발해 추자도(신양항)를 경유, 제주항까지 이어지는 항로는 남해와 제주 해역을 잇는 핵심 해상교통축입니다. 그중 송림블루오션호는 하루 한 차례 왕복하며 완도-추자도 구간을 담당하는 유일한 정기 여객선입니다. 대형 카페리급 선박이지만 비교적 소규모(정원 282명‧차량 45대)에 특화돼 있어, 낚시 장비 또는 레저 장비를 갖춘 소규모 여행객·추자도 주민·해상 물류 모두를 안정적으로 수송합니다. 본 글에서는 처음 이용하시는 분도 10분 만에 예약·탑승 준비를 마칠 수 있도록 시간표·승객 운임·차량 선적 요금·법정·프로모션 할인 제도·예약 절차·현장 동선까지 전방위 정보를 상세히 해설합니다.
Ⅱ. 운항 선박 기본 스펙
· 선박명 : 송림블루오션
· 총톤수 : 2,374톤
· 정원 : 282명 (좌석제 2등 의자석·입식 3등 마룻바닥 객실)
· 차량 적재 : 승용차 최대 45대(경차 포함) + 오토바이·자전거
· 평균 속력 : 약 14 노트
· 운항 주기 : 1일 1왕복, 둘째·넷째 주 목요일 정기휴항
· 선사명 : ㈜송림해운(대표 콜센터 064-758-8889)
Ⅲ. 2025년 상반기 시간표
운항 구간 | 출발 항 | 출발 시각 | 도착 항 | 도착 시각 | 비고 |
완도 → 추자 | 완도항 | 13:40 | 추자 신양항 | 16:20 | 2시간 40분 소요 |
추자 → 제주 | 추자 신양항 | 16:40 | 제주항 | 18:40 | 2시간 소요 |
제주 → 추자 | 제주항 | 08:00 | 추자 신양항 | 10:00 | 2시간 소요 |
추자 → 완도 | 추자 신양항 | 10:30 | 완도항 | 13:10 | 2시간 40분 소요 |
※ 해상기상특보·선박 정비에 따라 출·도착 시각이 10~40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출항 하루 전 오후 6시, 당일 오전 7시 두 차례 운항 공지 SMS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Ⅳ. 승객 운임표 (편도·2025년 6월 기준)
구분 | 완도 ↔ 추자 | 제주 ↔ 추자 | 완도 ↔ 제주(참고) |
2등 의자석 | 28,000원 | 28,000원 | 32,300원 |
3등 객실(마룻바닥) | 25,900원 | 25,900원 | 29,700원 |
유아(만 1세 미만) | 무료 | 무료 | 무료 |
소아(만 1세~12세) | 성인 요금의 50 % | 성인 요금의 50 % | 성인 요금의 50 % |
관광단체(20인 이상) | 성인 요금의 90 % | 성인 요금의 90 % | 성인 요금의 90 % |
· 주말·공휴일·설·추석·하계 특별수송기간에는 위 요금의 10 %가 할증됩니다.
· 터미널 이용료(1,000원 내외)는 별도입니다.
Ⅴ. 차량·이륜차 선적 요금 (편도·추자도 경유 구간)
1. 승용·SUV
차종·길이 | 추자 ↔ 완도 | 제주 ↔ 추자 | 제주 ↔ 완도 |
경차 (3.6 m 이하) | 69,300원 | 71,000원 | 87,400원 |
소형 세단 (4.5 m 이하) | 93,200원 | 95,000원 | 112,900원 |
중형 세단·소형 SUV (5 m 이하) | 99,100원 | 101,600원 | 125,500원 |
대형 세단·중형 SUV (5.2 m 이하) | 119,800원 | 121,900원 | 151,100원 |
2. 캠핑카·1 t 상용
차종 | 추자 ↔ 완도 | 제주 ↔ 추자 | 추자 ↔ 완도 적차 |
캠핑카 (6 m 미만) | 247,600원 | 255,000원 | – |
1 t 탑차 (공차) | 145,800원 | 149,200원 | – |
1 t 탑차 (적차) | 169,400원 | 173,800원 | 화물 적재 중량·종류에 따라 상향 |
3. 오토바이·자전거
종류 | 추자 ↔ 완도 |
자전거 | 3,000원 |
오토바이 100 cc 미만 | 19,800원 |
오토바이 600 cc 미만 | 66,700원 |
오토바이 600 cc 이상 | 88,500원 |
· 최종 요금은 차량 길이·전고·연료 종류·성수기 가산 등을 현장 실측 후 확정합니다.
· LPG·CNG 차량·캠핑카 가스통은 밸브 잠금 확인서 제출이 의무입니다.
Ⅵ. 할인 제도와 적용 방법
할인 유형 | 할인율 | 증빙 서류·조건 |
등록 장애인 | 50 % | 장애인 통합복지카드, 동반 1인 동일 적용 |
국가·참전·특수임무·5·18민주·고엽제 유공자 | 50 % | 국가보훈대상자증, 동반 1인 포함 |
경형 승용차(배기량 1000 cc 미만) | 50 %(주차요금) | 차량등록증上 배기량 확인 |
저공해·친환경 자동차 | 50 %(주차요금) | 환경부 인증저공해 스티커·차량등록증 |
65세 이상 | 20 % | 신분증 |
‘바다로’ 청년 패스(만 34세 이하) | 주중 50 % / 주말 20 % | 바다로 패스번호 온라인 입력 |
단체 20인 이상 | 10 % | 명단 제출·전화 예매 필수 |
· 중복 할인 불가 : 가장 높은 할인율 한 가지만 선택 적용됩니다.
· 온라인 예약 단계에서 증빙을 첨부하지 못했을 경우, 출항 60분 전 창구에서 재결제/환불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번거롭습니다. 가능하면 웹·앱에서 즉시 인증하세요.
Ⅶ. 예약·발권 절차
1. 회원 가입/로그인
o 송림해운 홈페이지 또는 ‘한국해운조합 여객선예매(KSA)’ 플랫폼 중 택1
2. 노선·날짜·좌석 선택
o ‘완도 → 추자 → 제주’ 또는 ‘제주 → 추자 → 완도’ 항로에서 추자도 구간만 예약할 수 있습니다.
3. 승객·차량 정보 입력
o 차량 선적 시 → 차량번호‧차종‧전장‧연료 입력
o 할인 대상일 경우 → 증빙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번호 입력
4. 결제
o 신용·체크카드, 간편결제(페이코·카카오페이) 지원
o 단, 차량+승객 동시 결제를 먼저 완료해야 잔여 차량칸 확보가 안전합니다.
5. 모바일 승선권(QR) 수령
o 일반 승객: 바로 QR 승선권 발급
o 할인 승객: “승선증 교환권” 형태로 발급 → 터미널 창구에서 실물 승선권으로 교환
6. 출항 당일 절차
1. 차량: 출항 90분 전 3부두 선적 대기선 집결 → 검차·탑승
2. 동승자: 출항 30분 전 개찰구 통과 → 승선
3. 추자도 도착 후 하역 안내방송에 따라 순차 하차
Ⅷ. 현장 동선 & 안전 수칙
1. 완도항
o 매표소(1층) → 차량 검차(3부두) → 대합실(3층) → 승선 슬로프
2. 추자 신양항
o 소형 터미널 구조로 하선 후 도보 20 m 내 수하물 수령 가능
3. 필수 준비물
o 유효 신분증, 예매 확인 문자, 멀미약, 보조배터리, 케이지(반려동물)
4. 차량 선적 시 주의
o 핸드브레이크·기어 P 위치 확인, 열쇠 소지 후 하선
o LPG 차량은 밸브 폐쇄·시동 후 5분 정지, 안내요원 확인 필수
Ⅸ. 여행 일정 설계 팁
1. 추자도 당일치기 (완도 기준)
일정 | 시간 | 내용 |
완도 출항 | 13:40 | 송림블루오션 승선 |
추자 도착 | 16:20 | 숙소 체크인·짐 보관 |
낚시/섬 둘레길 | 16:30~22:00 | 현지 식당·야경 감상 |
이튿날 아침 | 07:00 | 산책·조식 |
추자 출항 | 10:30 | 완도행 승선 |
완도 도착 | 13:10 | 귀가 |
· 장점 : 숙박 1박 기준 최소 일정으로 추자의 바다낚시·해산물 맛집·정겨운 어촌 풍경을 모두 체험
· 예산 : 2등 의자 왕복 56,000원 + 숙박 1인 30,000원 내외 + 식비
2. 제주 연계 2박 3일 (완도 → 추자 → 제주)
1일 차 13:40 완도 출발 → 16:20 추자 도착 → 섬 일몰 관람·숙박
2일 차 10:30 추자 출발 → 13:10 완도 도착 ✕(대기)✕ 13:40 완도 재승선 → 18:40 제주 도착 → 제주 연박
3일 차 제주 관광 후 항공/배편 귀가
· 포인트 : 추자도 체류 후 제주로 넘어가는 비선형 루트로 섬 여행의 깊이를 더할 수 있습니다.
· 유의 : 완도에서 제주행 재승선 시 좌석 마감 가능성이 크므로 왕복 구간을 미리 한 번에 예약해야 합니다.
Ⅹ. 결론
추자도는 “제주와 육지를 잇는 숨은 보석”이라 불릴 만큼 독특한 자연·문화·어업 전통을 보존하고 있습니다. 송림블루오션호를 이용하면 하루 한 번뿐인 배편으로도 충분한 체류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레저 장비 동반이 가능해 여행의 범위를 넓힐 수 있습니다.
1. 시간표를 정확히 파악해 둘째·넷째 주 목요일 휴항을 피해 일정을 짜시고
2. 할인 제도를 적극 활용해 예산을 최소화하시며
3. 차량 선적은 “선적칸부터 매진된다”는 원칙을 기억하고 조기 예약하시면,
보다 편안하고 경제적인 완도-추자도 여정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안전한 항해와 풍성한 섬 여행이 되시길 바랍니다.
완도 추자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할인 조건, 차량선적요금, 예약 방법 관련 FAQ
Q1. 완도항 ↔ 추자도 배편(송림블루오션호)은 정확히 언제, 어떤 코스로 운항하나요?
송림블루오션호는 ㈜송림해운이 운영하는 2,374톤급 연안여객선으로, 완도 → 추자도 → 제주 복합 항로의 ‘중간 구간’을 담당합니다. 하절기·동절기 구분 없이 하루 1회 왕복이 기본이며, 2025년 6월 현재 시간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완도 출발 → 추자 신양항 도착 : 13시 40분 → 16시 20분(2시간 40분)
· 추자 출발 → 제주항 도착 : 16시 40분 → 18시 40분(2시간)
· 제주출발 → 추자 도착 : 08시 00분 → 10시 00분(2시간)
· 추자 출발 → 완도 도착 : 10시 30분 → 13시 10분(2시간 40분)
출항 두 번째 주기(13 : 40 → 16 : 20)와 귀항 첫 번째 주기(08 : 00 → 10 : 00)가 ‘추자 체류 시간’의 핵심 창구이므로, 당일치기나 1박 체류를 계획하는 여행자는 반드시 이 시간대에 맞춰 숙소 체크인·낚시 포인트 이동·식당 예약 등을 설계해야 합니다. 둘째·넷째 주 목요일은 선박 정기검사·승무원 교대일로 휴항이니, 해당 주간에는 하루 전에 완도 ↔ 제주 직통편(실버클라우드·골드스텔라)으로 우회하거나 다음 날로 일정을 조정해야 합니다. 기상특보(풍속 12 m/s 이상·풍향 W/WSW 계열) 예보 시 출항 4시간 전에 SMS로 지연·결항 안내가 발송되니, 전날 18시와 당일 07시에 두 차례 운항 공지를 반드시 재확인하십시오.
Q2. 좌석·객실별 여객 운임 체계는 어떻게 구성되고, 주말·특송일 할증은 어느 정도인가요?
송림블루오션호는 대형 카페리와 달리 ‘2등 의자석’ ‘3등 마룻바닥 객실’ 두 가지 일반석만 운영합니다. 2025년 6월 기준 편도 기준 표준 요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노선 | 2등 의자석 | 3등 객실(온돌) | 비고 |
완도 ↔ 추자 | 28,000원 | 25,900원 | 성인‧주중 기준 |
제주 ↔ 추자 | 28,000원 | 25,900원 | 〃 |
완도 ↔ 제주(추자 경유) | 32,300원 | 29,700원 | 제주 직항보다 약 9 % 저렴 |
· 주말·법정공휴일·설‧추석 특별수송기간에는 각 구간 요금의 10 % 할증이 붙습니다.
· 소아(만 1세 ~ 12세) 는 해당 등급 요금의 50 %, 영‧유아(만 1세 미만) 는 무료이나 좌석을 별도 지정하려면 소아 요금을 내고 발권해야 합니다.
· 여객 운임에는 유류할증료·터미널 이용료(1,000 원 내외)가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실결제 직전 합산 금액이 약 1,200∼1,500 원가량 늘어납니다.
주말이라도 둘째·넷째 목요일 휴항 직후 금요일에는 승선객이 상대적으로 적어 ‘사전예매 14 일 전 2 등 의자 왕복’ 결제 시 약 5 % 추가 할인(선사 내부 프로모션)이 붙으니 예산을 줄이고 싶다면 해당 날짜를 노려 보세요.
Q3. 승용차·캠핑카·오토바이·자전거 등 차량선적 요금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차량 요금의 핵심 변인은 ① 전장(㎜ 단위 실측 길이) ② 적재중량 ③ 평일/휴일 여부입니다. 2025년 3월 선사 고시 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차(3.6 m 이하) : 69,300 원(추자 ↔ 완도), 71,000 원(추자 ↔ 제주)
· 소형 세단(4.5 m 이하) : 93,200 원 / 95,000 원
· 중형 SUV(5 m 이하) : 99,100 원 / 101,600 원
· 대형 세단·중형 SUV(5.2 m 이하) : 119,800 원 / 121,900 원
· 국산 캠핑카 6 m 미만 : 247,600 원 / 255,000 원
· 1 t 탑차(공차) : 145,800 원 / 149,200 원 (적차 시 +15 ~ 20 %)
· 오토바이 600 cc 미만 : 66,700 원 / 동일
· 자전거·전기자전거 : 3,000 원 균일
루프박스·사이드어닝·자전거 캐리어 등 부착물은 길이에 포함되므로, 차체 4.9 m + 캐리어 0.3 m = 5.2 m 로 측정되어 상위 등급 요금이 책정될 수 있습니다. 선적 시 LPG·CNG 차량은 밸브 잠금 확인서, 캠핑카 LPG 통은 잔량 50 % 이하를 확인받아야 하며, 미준수 시 선적 거부·과태료가 부과됩니다.
Q4. 장애인·유공자·시니어·청년패스 등 할인 제도는 어떤 것이 있고 중복 적용은 가능한가요?
할인유형 | 할인율 | 증빙 수단 | 적용 범위 |
등록장애인 | 50 % | 장애인통합복지카드 | 본인 + 보호자 1인 |
국가·참전‧특수임무‧5·18‧고엽제 유공자 | 50 % | 국가보훈대상자증 | 본인 + 동반 1인 |
65세 이상 | 20 % | 신분증 | 본인 |
‘바다로’ 패스(만 34세 이하) | 주중 50 % / 주말 20 % | 패스번호 | 본인 |
단체 20인 이상 | 10 % | 명단 제출 | 단체 전체 |
중복 할인은 불가하며, 가장 높은 할인율 하나만 반영됩니다. 온라인 예매 시 증빙 번호를 입력하고 JPG·PDF 스캔본을 업로드해야 즉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입력을 건너뛰면 정가 결제 → 터미널 창구에서 재결제·환불 절차를 거쳐야 해 번거로우므로 주의하십시오. 할인 후 남은 차액은 전자지갑·원 결제 수단으로 자동 환급됩니다.
Q5. 온라인·모바일·현장 예약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고, 예약 성공률을 높이는 요령은 무엇인가요?
1️⃣ 회원 가입 : 송림해운 홈페이지 또는 한국해운조합 통합 ‘KSA 여객선예매’ 플랫폼 중 한 곳을 선택.
2️⃣ 노선·날짜·좌석 선택 : 완도 ↔ 추자·제주 ↔ 추자 중 원하는 구간을 체크, 왕복이면 한 번에 2구간 모두 담는 것이 수수료가 저렴.
3️⃣ 승객·차량 정보 입력 : 차량 번호·길이·연료·탑승 인원 자동 연동.
4️⃣ 할인 인증 : 복지카드·패스번호 등 즉시 입력.
5️⃣ 결제 : 카드·계좌·카카오페이·페이코 택1.
6️⃣ 모바일 승선권(QR) 발급 : 일반 승객은 QR 즉시 사용, 할인 승객은 ‘교환권’ 형식 → 현장 카운터에서 실물 승선권으로 교환.
7️⃣ 탑승 : 차량은 출항 90분 전 3부두 대기선, 여객은 30분 전 개찰.
꿀팁 – 좌석보다 차량칸이 먼저 매진되므로 ‘차량 동반’ 여행자는 차량+여객 동시 결제 → 동승자 좌석만 따로 추가 결제 순서로 예매하면 실패 확률이 크게 줄어듭니다. 예약 오픈 시각(통상 탑승일 20일 전 오전 09시) 1분 전부터 새로 고침을 반복하면 취소표를 잡기 쉽습니다.
Q6. 차량 선적 현장 동선과 안전 수칙은 어떻게 되며, 주의해야 할 대표적인 실수는 무엇인가요?
① 검차 – 3부두 방풍벽 앞 ‘레이저 게이지 존’에서 전장·전고 측정, 위험물 확인.
② 티켓 부착 – 차량선적 QR을 A4 출력·지정 위치(운전석 전면 유리 하단) 부착.
③ 대기선 진입 – 출항 90분 전, 비상등 켜고 10 ㎞/h 이하 저속 주행.
④ 램프 탑승 – 안내 요원 유도에 따라 지정 라인 진입·주차, 기어 P·핸드브레이크, 시동OFF 후 하선.
⑤ 도착·하역 – 하역 방송을 들은 뒤 탑승, 급출발 방지·서행 하선.
가장 잦은 실수는 LPG 밸브 미잠금과 높이 초과 미신고(루프박스) 입니다. 적발 시 선적 제외 뿐 아니라 과태료(최대 10만 원)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출항 전날 반드시 체크리스트를 따라 검수하세요.
Q7. 당일치기·1박 2일 일정으로 추자도를 효율적으로 여행하려면 어떻게 배편을 조합해야 하나요?
· 당일치기 : 완도 13 : 40 → 추자 16 : 20 도착 후 버스/택시로 관운사 전망대 · 추포 노을길 관광 → 18 시 전후 현지 식당에서 저녁 식사 → 숙박 없이 민박 짐 보관 → 다음 날 10 : 30 출항 → 13 : 10 완도 도착.
· 1박 2일(제주 연계) : 첫날 완도 → 추자(13 : 40) → 섬 일몰·야간 낚시 → 추자 민박 1박 → 이튿날 16 : 40 추자 → 제주 18 : 40 도착 → 제주 시내 숙박.
핵심은 추자 체류 가능 시간이 18~19 시간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낚시 포인트·숙소·식당을 배 도착 전 미리 예약해 두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성수기(9~11월 갈치 시즌)에는 민박·선상 낚싯배가 조기 마감되니 최소 3주 전에 전화 예약을 권장합니다.
Q8. 기상 악화로 지연·결항될 때 환불·대체 교통 옵션은 어떻게 되나요?
· 환불 규정 : 결항 확정 시 100 % 환불, 기상 지연 시 승객 자의 취소는 출항 3시간 전까지 전액 환불·3시간 이후 20 % 수수료.
· 대체 항로 : ① 완도 ↔ 제주 직통(실버클라우드·골드스텔라) 잔여석 확인 → 예매 → 제주 도착 후 비행기로 추자 재입도.
② 목포·녹동 ↔ 제주·추자 소형 여객선(산타모니카호 등)으로 우회(차량 미선적 시에만 현실적).
· 숙박·식사 보상 : 해운법상 지연 6시간 초과 시 선사는 간단식(빵·음료) 제공 의무만 있고, 숙박 보상은 ‘당일 귀항 불가 + 선박 원인’일 때만 1인 20,000 원 한도 지급이 원칙입니다.
따라서 추자 체류 전날·당일에 풍속 12 m/s 이상 예보가 나오면, 예약 즉시 무료 취소 후 날짜를 바꾸는 편이 가장 안전합니다.
Q9. 송림블루오션호 선내 편의시설은 어떠하며, 5시간(완도↔제주 전구간) 항해 시간을 알차게 쓰는 방법은?
· 2층 의자석 : 56석 리클라이너, USB 충전포트(일부 좌석), 중앙 스크린 2대.
· 3층 마룻바닥 객실 : 좌식 매트․온돌 난방, 관광객·단체 이용 잦음.
· 스낵바 : 컵라면·커피·PB 과자, 하선 40 분 전 영업 종료(심야 편 없음).
· 야외 갑판 : 선미 관람 데크, 낚싯대 고정 금지·흡연 가능 라인 별도.
· 기념 스탬프·포토존 : 3층 통로, 추자 상징 ‘멸치고개’ 캐릭터 스탬프 비치.
항해 중 대부분 통신망이 잡히므로 모바일 영상 저장·업로드, 원격 업무 처리가 가능하고, 갑판 바람이 강하므로 바람막이 재킷을 꼭 챙기십시오. 밤 항차(완도↔제주 전구간)에서는 별·은하수가 뚜렷하게 보이니 스마트폰 장노출 촬영을 준비하면 특별한 기념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Q10. 초행 승객이 자주 겪는 실수와 이를 예방하는 체크리스트는 무엇인가요?
1. 출항 30분 전 도착 → 개찰 마감 20분 전이라 수속 불가 : 최소 50분 전 도착이 안전.
2. 차량칸 매진 후 좌석만 예매 → 현장 선적 불가 : ‘차량+좌석 동시 예매’가 원칙.
3. 휴대폰 배터리 부족 → 모바일 승선권 QR 인식 실패 : 예매 직후 ‘캡처 파일’ 저장 + 보조배터리 필수.
4. 대방어‧갈치 등 선어(鮮魚) 박스 대량 구입 → 1인 수하물 20 ㎏ 초과로 추가 요금 : 택배 배송을 활용.
5. 루프박스·자전거 캐리어 길이 미신고 → 상위 요금 현장 정정·과징금 : 예약 단계에서 전장을 넉넉히 신고.
6. 둘째·넷째 목 휴항 확인 누락 → 완도/제주 터미널에서 발권 불가 : 예매 페이지 ‘휴항 캘린더’ 체크.
7. LPG 밸브 미잠금 → 선적 거부·출항 지연 : 밸브 잠금표(터미널 배부)를 표시하고 점검 라벨 부착.
위 체크리스트를 준비물과 함께 ‘출발 하루 전 문자 리마인더’(휴대폰 캘린더 알림)로 설정해 두면, 잔혹(?)한 현장 재결제·차량 선적 거부 상황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습니다.
오늘 정리하여 알려드린 완도 추자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할인 조건, 차량선적요금, 예약 방법은 포스팅 작성일 기준으로 확인된 자료입니다. 하지만 완도 추자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할인 조건, 차량선적요금, 예약 방법은 향후 사정상 변동 될 수 있으니 해당 포스팅은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가장 최신 완도 추자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할인 조건, 차량선적요금, 예약 방법은 여객선사 또는 지자체홈페이지에 직접 문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상으로 완도 추자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할인 조건, 차량선적요금, 예약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하여 알려드렸습니다.